SQLD/함수

[함수-단일행함수]문자형 함수

김귤🐵 2023. 8. 22. 20:42

1.문자형함수

SQL에서 함수는 크게 내장함수사용자 정의함수로 나눌수 있다.

다시 내장함수는 단일행 함수다중행 함수로 나뉘는데, 단일행 함수의 문자형 함수를 정리하였다.

 

문자형 함수
(Oracle / SQL Server)
함수 설명
CHA / CHAR(ASCII번호) ASCII번호를 문자나 숫자로 바꿔준다.
  SELECT CHA(65) → A 
ASCII('문자') 문자나 숫자를 ASCII코드로 변환해준다.
  SELECT ASCII(’A’) → 65
LOWER('문자열')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경해준다.
  SELECT LOWER(’SQLD) → sqld
UPPER('문자열')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경해준다.
  SELECT UPPER(’sqld’) → SQLD
TRIM ([위치 특정문자 FROM] ’문자열’) 양쪽의 공백을 제거한다.
❗️SQL Server에서는 옵션 사용이 불가,양쪽 공백 제거만 가능
❗️위치에는 LEADING(왼쪽),TRAILING(오른쪽),BOTH(양쪽)중 선택
❗️특정문자에는 한 글자만 지정가능
  TRIM('    공백제거    ') → '공백제거'
  TRIM(LEADING’S’FROM’SQLD’) → 'QLD' 
LTRIM (’문자열’[,’지정 문자’]) 왼쪽의 공백을 제거한다.
❗️SQL Server에서는 옵션 사용이 불가,왼쪽 공백 제거만 가능
  LTRIM(’ SQLD’) → ‘SQLD’
  LTRIM(’SQLD’,’S’) → ‘QLD’
RTRIM (’문자열’[,’지정 문자’]) 오른쪽의 공백을 제거한다.
❗️SQL Server에서는 옵션 사용이 불가,오른쪽 공백 제거만 가능
  RTRIM(’SQLD ’) → ‘SQLD’
  RTRIM(’SQLD’,’S’) → ‘QLD’
CONCAT (’문자열1’,’문자열2) 문자열1과 문자열2를 연결한다.
❗️오라클의 합성 연산자(||)나 SQL Server의 ‘+’와 같은 역할을 한다.
  SELECT CONCAT(’안녕’,’하세요’) → ‘안녕하세요’
SUBSTR/SUBSTRING
(’문자열’,시작점[,길이])
문자열을 원하는 부분만큼만 지정해서 반환해주는 함수.
❗️길이를 지정하지 않으면 처음부터 끝까지 반환
  SUBSTR(’안녕하세요’,1,2) →’안녕’
  SUBSTRING(’안녕하세요’,3) → ‘하세요’
LENGTH(’문자열’) 문자열의 개수를 반환해준다.
  LENGTH(’hello’) → 5
REPLACE
(’문자열’,찾을 문자’ [,’치환 문자’])
특정 문자열을 치환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함수
1.특정 문자의 제거 - 옵션을 사용하지 않음
  REPLACE(’안녕하세요’,’하세요’) → ‘안녕’
2.특정 문자 치환 -옵션을 사용
  REPALCE(’안녕하세요’,’하세요’,’하십니까’) → ‘안녕하십니까’

 

SQLD공부를 하며 함수와 관련된 내용을 정리하였습니다.

정확하지 않은 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