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프로그래밍-파이썬
    정보처리기사 2023. 7. 5. 16:10

    파이썬은 매 회차 1문제 씩 출제되고 있다.

    간단한 출력 문제가 나오며, 다음의 범위에서 문제가 나왔다.

    • for문 range()
    • list
    • set

     

    1.for문,range()

    1️⃣for문

    기본 구조

    for 변수 in 리스트(또는 튜플, 문자열):
        수행할_문장1
        수행할_문장2
        ...

    리스트,튜플,문자열의 첫 번째 요소부터 마지막 요소까지 차례로 대입되어 수행된다.

     

    2️⃣range()

    range함수는 연속된 숫자를 생성하는데 사용되는 함수다.

    //기본구조
    range(start,stop,step)
    • start : 숫자의 시작값을 지정한다.
    • stop : 숫자의 종료값을 지정한다.
    • step : 숫자 간격을 지정한다. 기본값은 1

    range함수는 실제로 숫자를 생성하는게 아니라 숫자를 나타내는 범위 객체를 반환한다.

    함수로 생성된 숫자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list함수나 반복문등을 활용하여 범위객체를 다른 자료구조로 변환해야한다.

    # 0부터 9까지의 숫자를 생성
    numbers = list(range(10))
    print(numbers)  # 출력: [0, 1, 2, 3, 4, 5, 6, 7, 8, 9]
    
    # 1부터 10까지의 숫자 중에서 홀수만 생성
    odd_numbers = list(range(1, 11, 2))
    print(odd_numbers)  # 출력: [1, 3, 5, 7, 9]

    숫자의 종료값은 미만값을 나타낸다. 그래서 range(10)은 10미만인 9까지 반환하게 된다.

     

    기출문제

    2021년 2회 기출문제

    a = 100
    result = 0
    for i in range(1,3);
       result = a >> i
       result = result + 1
    pirnt(result)

     

     

     

     

     

    2.list

    리스트 작성방법

    리스트를 만들기 때는 대괄호([])로 만들어 준다.

    리스트명 = [요소1, 요소2, 요소3, ...]

    리스트 기출 문제

    리스트에서는 출력 형태를 정확하게 구분해서 작성하도록 해야한다.

    인덱스로 가져온것이 아닌 리스트 자체를 출력하게 된다면 반드시 대괄호([])까지 포함해서 출력해야 한다.

    1.2020년 3회

    TestList = [1,2,3,4,5]
    TestList = list(map(lambda num : num + 100, TestList)))
     
    print(TestList)

    2.2021년 1회

    class good :
    	li = ["seoul", "kyeonggi","inchon","daejeon","daegu","pusan"]
    
    g = good()
    str01 = ''
    for i in g.li:
    	str01 = str01 + i[0]
        
    print(str01)

    3.2020년 4회

    lol = [[1,2,3],[4,5],[6,7,8,9]]
    print(lol[0])
    print(lol[2][1])
      for sub in lol:
        for item in sub:
          print(item, end = '')
        print()

     

    3.집합 자료형(set)

    집합에 관련된 것을 쉽게 처리하기 위해 만든 자료형이다.

     

    기본 구조

    a = set(["한국","일본","중국"]
    a = {"한국","일본","중국"}

    set키워드안에 리스트를 넣어 만들거나, 중괄호{} 를 사용하여 생성 할 수 있다.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순서가 없는 자료형이다.

     

    집합 자료형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

    1️⃣add 

    이미 만들어진 set자료형에 값을 추가

    s1 = set([1, 2, 3])
    s1.add(4)
    s1
    {1, 2, 3, 4}

    2️⃣update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

    s1 = set([1, 2, 3])
    s1.update([4, 5, 6])
    s1
    {1, 2, 3, 4, 5, 6}

    3️⃣remove

    특정 값을 제거

    s1 = set([1, 2, 3])
    s1.remove(2)
    s1
    {1, 3}

     

    기출문제

    1. 2023년1회, 2020년 2회

    a={'일본','중국','한국'}
    a.add('베트남')
    a.add('중국')
    a.remove('일본')
    a.update(['홍콩','한국','태국'])
    print(a)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