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DML]SELECT-연산자SQLD/SQL 2023. 8. 30. 17:31
연산자 1.산술 연산자 연산자 의미 우선 순위 () 괄호로 우선 순위를 조정 1 * 곱하기 2 / 나누기 2 + 더하기 3 - 빼기 3 NUMBER,DATE 자료형에 적용되는 사칙 연산 기능을 가진 연산자 산술 연산자에서 NULL값은 NULL을 반환한다. 나누기 연산을 할 때 분모가 0값이면 에러가 발생한다 2.합성 연산자 오라클 ( || ) SQL-Server ( + ) SELECT 'S'||'Q'||'L'||'D' SELECT S+Q+L+D 문자와 문자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CONCAT함수를 사용해도 똑같은 결과를 얻는다. 3.비교 연산자와 부정 비교 연산자 👉🏻비교 연산자 연산자 의미 예시 = 같음 col = 10 = 크거나 같음 col >= 10 👉🏻부정 비교 연산자 연산자 의미 예시 !=..
-
[DML]SELECT구문SQLD/SQL 2023. 8. 29. 19:34
SELECT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해 사용한다. 1)SELECT의 구성과 실행 순서 순서 절 설명 5 SELECT 가져올 컬럼을 지정한다. 1 FROM 가져올 테이블을 지정한다. 2 WHERE 조건을 설정한다. 3 GROUP BY 그룹별로 묶을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 4 HAVING 집계 함수에 대한 조건절은 HAVING에서만 사용 가능 6 ORDERBY 지정한 컬럼을 오름차순/내림차순 정렬한다. GROUP BY 그룹별로 묶을 수 있도록 해주는 명령어 그룹화 하는 이유는 그룹별로 집계를 하기 위해서인 경우가 많다. 여러개의 컬럼으로 그룹화 할 수 있다. SELECT 지역,성별,COUNT(*) as 집계 FROM 주민 GROUP BY 지역,성별 -- 지역과 성별을 그룹화한다. EX) 경기 여..
-
[DML]INSERT,UPDATE,DELETESQLD/SQL 2023. 8. 29. 13:59
1.INSERT 테이블에 데이터를 삽입한다. INSERT는 컬럼명을 명시하여 삽입하거나 명시하지 않고 삽입하는 두 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1)데이터 삽입하는 방법 1️⃣컬럼명을 명시하고 INSERT INSERT INTO 테이블명(컬럼명1,컬럼명2) VALUES(데이터1,데이터2); INSERT INTO USER(ID,EMAIL,NAME) VALUES(1,'bcde@naver.com','김길똥') ID EMAIL NAME AGE 1 bcde@naver.com 김길똥 NULL 원하는 컬럼에만 값을 입력한다. 지정한 컬럼명과 입력되어야하는 값을 서로 1:1로 매핑해서 입력하면 된다. 데이터 유형이 문자형이라면 '로 입력하고 숫자형은 그대로 입력한다. 컬럼의 순서는 테이블의 컬럼 순서와 같을 필요는 없으며, 정..
-
[DDL]ALTER,DROP,TRUNCATE,RENAMESQLD/SQL 2023. 8. 29. 12:49
1.ALTER 테이블 구조를 변경하기 위한 명령어 속성의 추가,삭제,변경(데이터 타입,제약조건 및 속성의 이름) 종류 (Oracle/SQL Server) 설명 ADD 새로운 컬럼,제약조건의 추가 👉🏻컬럼의 추가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LUMN] 컬럼명 테이터 타입 *오라클에서는 [COLUMN]을 생략한다. 👉🏻제약조건의 추가 ALTER TABLE 테이블명 ADD CONSTARINT 제약조건명 제약조건(컬럼명) MODIFY / ALTER 컬럼의 데이터 유형, 제약조건(DEFAULT값, NOT NULL)에 대한 변경 ALTER TABLE 테이블명 MODIFY 컬럼명 데이터유형 [DEFAULT 값] [NOT NULL] ALTER TABLE 테이블명 ALTER COLUMN 컬럼명 데이터유형 ..
-
[DDL]CREATESQLD/SQL 2023. 8. 28. 21:25
DDL(Data Definition Language) 데이터 정의어는 데이터를 담을 테이블을 만들거나 수정하는 언어이다. 종류는 CREATE,ALTER,DROP,TRUNCATE,RENAME이 있다. 1.CREATE -- CREATE의 기본 구조 CREATE TABLE 테이블명( 컬럼명1 데이터 타입 [DEFAULT 형식] [NOT NULL] [PRIMARY KEY] ) 테이블,인덱스,뷰 등을 생성하는 명령어 컬럼 추가 시 데이터 타입을 명시하고 제약조건을 추가할 수 있다. 1)데이터 타입 데이터 타입 (Oracle / SQL Server) 설명 NUMBER / INTEGER 숫자형 DATE / DATETIME 날짜형 VARCHAR2 / VARCHAR 가변길이 문자열 '문자열' != '문자열 ' CHAR ..
-
[함수-다중행 함수]윈도우 함수SQLD/함수 2023. 8. 28. 18:30
윈도우 함수 1)윈도우 함수의 기본 구문 SELECT 윈도우 함수(인자) OVER([PARTITION BY 컬럼][ORDER BY절][WINDOWING 절]) FROM 테이블명 ❗️윈도우 함수는 반드시 OVER 키워드와 함께 사용된다. 인자 : 함수에 따라 0~N개의 인자를 지정 가능 PARTITION BY : 전체 집합을 소그룹으로 지정하여 나눌 수 있다. ORDER BY절 : 어떤 항목에 대해 순위를 지정할 지 ORDER BY절을 기술한다. WINDOWING절 : 집계하려는 데이터의 범위를 지정할 수 있다. 오라클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WINDOWING절 범위 의미 UNBOUNDED PRECEDING 위쪽 끝 행 UNBOUNDED FOLLOWING 아래쪽 끝 행 CURRENT ROW 현재 행 n P..
-
[함수-다중행 함수]그룹 함수-집계,소계SQLD/함수 2023. 8. 26. 14:47
그룹함수는 집계 함수와 소계 함수로 나뉜다. 1.집계함수 집계 함수는 일반적으로 GROUP BY절과 함께 사용된다. *테이블 전체가 하나의 그룹이 되는 경우 단독으로 사용가능 집계함수는 WHERE절에 올 수 없다. HAVING절을 사용한다. COUNT(컬럼) SELECT COUNT(*) NULL을 포함한 전체행을 카운트하여 반환한다. SELECT COUNT(컬럼) NULL을 제외한 컬럼을 카운트하여 반환한다. SELECT COUNT(DISTINT 컬럼) NULL과 중복값을 제외한 컬럼을 카운트하여 반환 SUM(컬럼명) SELECT SUM(컬럼명) 컬럼값들의 합계를 반환 AVG(컬럼명) SELECT AVG(컬럼명) 컬럼값들의 평균을 반환 MIN(컬럼명) SELECT MIN(컬럼명)컬럼값들의 최소값을 반환 ..
-
[함수-단일행 함수]NULL관련 함수,CSAE구문SQLD/함수 2023. 8. 23. 20:15
1.NULL관련 함수 NULL관련 함수 (오라클 / SQL Server) 내용 NVL/ISNULL (인수1,인수2) 인수1 = NULL → 인수2를 반환 인수1 != NULL → 인수 1을 반환 NVL(REVIEW_SCORE,0) ISNULL(REVIEW_SCORE,0) → 리뷰 스코어가 NULL이라면 0값을 반환 NULLIF(인수1,인수2) 인수1의 값이 인수2의 값과 같다면 NULL을 반환하고, 같지 않으면 인수1을 반환한다. NULLIF(col1,1234) →col1의 값이 1234이면 NULL반환,같지 않으면 MGR반환 COALESCE(인수1,인수2..) NULL이 아닌 최초의 인수를 반환한다. COALESEC(PHONE,EMAIL,FAX) 2.CASE CASE는 IF-THEN-ELSE논리 구성으..